-
염승환 이사와 함께 ep.2 자동차 주식, 어떻게 될까? 관심종목, 피할 종목은?신박한 주식이야기/주식찌라시 2021. 10. 6. 08:12반응형
부하는 수빈씨 유투브에서 10월 2일자 방영분 "염승환 이사와 함께, ep.2 자동차 주식, 어떻게 될까? 관심종목, 피할 종목은? "을 포스팅하겠습니다.
https://stockmong.tistory.com/179
내용 요 약
01:00
▣ 차량용 반도체 공급현황은?
○ 차량용 반도체 공급은 TSMC가 전셰계 70% 독점 생산
- 차량용 반도체는 저가, 다품종, 소량 생산으로 공급이유 해결되면 애물단지로 전락
- 섬성전자는 고부가 가치가 있는 12인치 생산, 차량용 반도체는 8인치 저부가 가치
- 12인치 반도체는 스마트폰, 서브 등에 사용
- 차량용 반도체는 저가, 다품종, 소량 생산으로 공급이유 해결되면 애물단지로 전락
○ 차량용 반도체 수혜주는?
- 해성디에스 : 가격 많이 올라 접근에는 신중
- DB하이텍 : 8인치만 생산, 12인치 생산하는 삼성과 비경쟁적, 가격 매력적
- 현대모비스 : 이번 부족사태에 직접타격, 공급 자체 해결위해 관련 기업 인수
○ 반도체공급 부족으로 수혜를 본 중고차 시장
- 미국 중고차 지수 : 만하임 인덱스
- 만하임 인덱스 미치듯 올라, 신차 가격 앞 질러
- 수혜기업
· 도이치오토월드(정치적 이유로 중고차 급등에 따른 수혜를 못 받아, 이슈해결되면 주가 회복 가능성)
- 비정상은 정상화되니 접근에 신중
- 오히려, 정상화 될때 수혜기업(자동차 부품회사)에 관심을 가질 필요
5:09
▣ 염블리의 추천 종목은?
◆ 리오픈닝 관련주
○ 항공기 제작 관련주
- 코로나 19로 멈췄던 다시 시작되는 해외여행 관련 수혜주
- 항공기 관련주 너무 올라, 지금은 비행기 제작 관련주 추천
- 아스트, 하이즈항공
· 보잉, 에어버스에 납품
· 비행기 제작 중단으로 최악의 상황
· 2023년 2019년 여객수준 회복, 그러면 지금의 비행기 부족으로 수요증가 예상
· 내년부터 항공기 제작에 들어가면, 올해 말부터 발주 예상
○ 타이어 관련주
- 지금은 아무도 관신이 없는 타이어
- 한국타이어 중심으로 관심 가질 필요
◆ 친환경 관련주
○ 수소차 시장은 아직도 시장이 작다
- 2025년 예상판매, 11만대(전셰계 1년 차량 판매대수 9천만대)
○ 작은 시장내에서도 소재를 만드는 기업 매력적
- 효성 첨단소재, 코오롱 인더스트리 : 좋은데 주가가 너무 올라
○ 수소 밸류체인에 관심을 가질 필요
- 삼성엔지니어링
- DL이엔씨
- 암모니아 관련주(수소운송)
9:13
▣ 시장 대응
○ 헝다사태 뿐만 아니라, 매일매일 악재는 계속 발생한다
○ 그러면, 우리는 소음과 신호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하는 능력을 길러야 하는데
○ 주식 투자가 기법에는 이러한 것이 없다
○ 뉴스, 증권사 보고서, 유투브, 책 등을 통해서 매일 매일 체크하고 공부를 해서 취합
○ 취합한 정보를 연결하는 훈련을 매일해서 1, 2년 하다 보면, 자기도 모르게 수준에 오르게 된다
○ 훈련을 통한 판단과 주가의 흐름 등을 파악하고 투자의 결론이 났다면
○ 과감하게 투자를 한다. (과감한 투자는 부자의 태도이다)
○ 실패를 두려워해서 과감한 투자를 못하는 사람들이 있는데, 두려워하지 말고 투자를 해야 한다
○ 이렇게해서 실패를 해도 전혀 리스크가 아니다. 몇번의 시도를 통해서 성공할 때가 생기는데
○ 철저히 준비를 했다면 실패를 한 경험이 곧 노하우이고 자기 자신의 자산이 되어
○ 영원히 투자에 성공을 할 것이다!!!
#염블리 #염승환 #염승환이사 #공부하는수빈씨 #리오픈닝관련주 #아스트 #하이즈항공 #삼성엔지니어링
#DL이엔씨 #친환경관련주
반응형'신박한 주식이야기 > 주식찌라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염블리의 비밀노트, 현재 증시, 대세 하락 시작이냐? 단기조정이냐? (12) 2021.10.10 염블리의 비밀노트, 싸다고 다 좋은거 아니다! 지금 담아야 VS 피해야 할것! (6) 2021.10.06 염승환 이사와 함께 ep.1 헝다사태/현대차/스튜디오 드레곤 (17) 2021.10.04 염블리의 비밀노트, 트랜드를 읽어라! 산업 폐기물 산업 주목! (6) 2021.09.27 엔터테인먼트와 플랫폼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(8) 2021.09.20